사용자 (User) 및 그룹 (Group) 관리 명령어
-- 제가 사용하는 리눅스 (Linux) / 유닉스 (Unix) 명령어 위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.
-- Ctrl + F 로 명령어를 검색하세요~
-- RHEL5 테스트
윈도우 설치시 administrator 계정 생성과 마찬가지로 리눅스 설치시 root 가 생성됨
root 계정으로만 사용자 및 그룹 설정 가능
-- 검색 가능 명령어
-- groupadd, groupmod, groupdel, useradd, usermod, userdel
groupadd
■ 설명
새로운 그룹 생성
■ 참고
1. 그룹 생성시 /etc/group 에 내용이 추가됨
2. 최초 default 그룹번호 (GID) 는 500
■ 옵션
-g : 그룹번호 지정 (중복시키지 말것)
■ 예제
groupadd -g 500 dba // 그룹번호 500번으로 dba 그룹 생성
groupadd dba2 // 가장 마지막 생성된 그룹번호의 다음 번호로 dba2 계정을 생성
groupmod
■ 설명
그룹 설정 변경
■ 옵션
-g : 그룹번호 변경
-n : 그룹명 변경
■ 예제
groupmod -g 501 -n dbag dba // dba 그룹의 그룹번호를 501로, 그룹명을 dbag로 변경
groupdel
■ 설명
그룹 삭제
■ 참고
명령어를 이용하지 않고
/etc/group 에서 직접 삭제해줘도 됨
■ 예제
groupdel dba
useradd
■ 설명
사용자 계정 생성
■ 참고
1. 유저 생성시 그룹번호 (GID) 를 설정하지 않으면 OS가 그룹 생성 후 자동 할당
2. 유저 생성시 /etc/passwd 에 내용이 추가됨
3. 유저 생성시 /etc/skel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이 새로 생성되는 유저의 home 디렉토리로 파일이 복사됨
계정 생성할때마다 복사하거나 공지할 내용이 있을때 사용하면 유용
■ 옵션
-u : 유저번호(UID) 설정
-g : 그룹번호(GID) 설정
-G : 보조 그룹번호(GID) 설정
-d : 홈 디렉토리 설정
-s : 사용할 Shell 설정
-c : 계정에 대한 설명(Comment) 남김
■ 예제
useradd user1
useradd -u 501 -g 550 -c testuser user2
usermod
■ 설명
사용자 계정 변경
■ 옵션
-u : 유저번호(UID) 설정
-g : 그룹번호(GID) 설정
-G : 보조 그룹번호(GID) 설정
-d : 홈 디렉토리 설정
-s : 사용할 Shell 설정
-c : 계정에 대한 설명(Comment) 남김
userdel
■ 설명
사용자 삭제
■ 참고
명령어를 이용하지 않고
/etc/passwd 에서 직접 삭제해줘도 됨
/etc/shadow 에서도 삭제해줘야 함
■ 옵션
-r : 홈 디렉토리까지 삭제
■ 예제
userdel -r user2
사용자 (User) 및 그룹 (Group) 관리 파일
/etc/passwd
유저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로 다음의 내용이 저장됨
유저명 : 암호 : UID : GID : 사용자설명 : 홈디렉토리 : 사용Shell
순서로 저장
/etc/group
그룹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로 다음의 내용이 저장됨
그룹명 : 암호 : GID
순서로 저장
/etc/shadow
비밀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
'Specialty > Unix or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닉스 (Unix) / 리눅스 (Linux) 권한 관리 (0) | 2015.02.09 |
---|---|
유닉스 (Unix) / 리눅스 (Linux) 주요 기본 명령어 (0) | 2015.02.05 |